Load Balancer
-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통칭
- 클라이언트와 서버풀 사이에 위치하며, 한 대의 서버로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 관리해 각각의 서버가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도록 함
서버 증설 방법
- Scale-Up : 현재 서버 자체를 증강시켜 해당 서버가 대량의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
- Scale-Out : 서버 자체를 증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같은 사양을 가진 장비 또는 비슷한 사양을 가진 장비의 대수를 증가 시켜 처리 능력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것
주요 기능
상태 확인
- 로드 밸런서는 서버들에 대한 주기적인 상태 확인을 통해 서버들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 이로 인해, 서버에 이상이 생기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서버로 트래픽을 보내주는 Fail-Over가 가능
Tunneling
- 인터넷 상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개념
- 로드 밸런서의 가상 IP(VIP) 주소로 향하는 요구 패킷이 로드 밸런싱 서버로 전달되면 로드 밸런싱 서버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포트를 검사하여 가상 서버 정책과 일치할 경우, 스케줄링에 따라 실제 작업 서버로 전달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