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인터넷 접속에 사용된다
라우터는 LAN(Local Area Network)과 인터넷의 연결에 이용된다. 가정에서 라우터를 이용해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에 이용된다. 가정에서 라우터를 이용해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은 이미 상식이 되었으므로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
2개의 LAN이 라우터를 가쳐 WAN과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다. 보기에 따라서는 라우터 WAN/인터넷과 LAN의 경계가 되어 있다.
다양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능에 대응
WAN/인터넷 서비스는 전 세계에 여러 가지가 있으며, 서비스마다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도 각양각색이다. 라우터는 그런 다양한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NAT(Network Address Translastion), 방화벽, 거점 간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이나 QoS(Qualirty of Service) 등 대부분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런 기능들은 WAN/인터넷에 연결할 때 함께 사용하는 일이 많다. 각 기능에 대해 전용기기를 따로 준비하는 사례도 있지만, 1대의 라우터에서 통합해서 구현하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라우터는 WAN/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써 이용되며, 라우터가 LAN과 WAN/인터넷을 연결해 줌으로써 전 세계로써 전 세계로 펼쳐지는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소프트웨어 기반인가 하드웨어 기반인가
라우터와 L3 스위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사실은 ‘이거다!’하는 정의는 없지만, 일반론으로서 아래 표와 같은 차이가 있다.
항목 | 라우터 | L3 스위치 |
---|---|---|
아키텍처 | 소프트웨어 처리가 메인 | 하드웨어 처리가 메인 |
포트 수 | 적다 | 많다 |
처리 속도 | 낮다 | 높다 |
지원 기능 수 | 많다 | 적다 |
지원 인터페이스 종류 | 많다 | 적다 |
확장성 | 많다 | 적다 |
라우터 쪽이 지원하는 기능과 프로토콜이 많고 확장성이 높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이므로 나중에 업그레이드로 기능이 확장되거나 강화되는 경우도 많다. 반면에 L3 스위치는 역시 스위치인 만큼 포트 수가 많고 하드웨어 기반이라 처리 속도는 라우터를 웃돌지만, 기능과 확장성이 제한되어 있다.
이런 차이는 원래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라우터’, 네트워크 기기(컴퓨터, 서버, 프린터 등)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라는 배경에서 생겨났다. 조금 더 주관을 섞어 파고들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미래를 대비한 확장성을 가진 ‘라우터’, 그에 비해 특정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빠른 패킷 처리를 하지만, 지원 기능 수나 확장성은 제한된 ‘L3 스위치’라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
다만, 위 표는 실정과 대조하면 조금 과도한 표현으로 되어 있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사업자 규모에서 도입하는 고가의 제품은 라우터라도 하드웨어 처리가 가능한 제품이 있는가 하면, L3 스위치라도 라우터처럼 기능이 많은 제품도 있다. 가격이 비싼 제품일수록 처리 속도와 지원 기능 수에서 차이가 사라지는 실정이다. 거꾸로 비교적 가격이 싼 제품에서는 여전히 위 표와 같은 차이가 남아 있다.
또한, 라우터에 국한된 사실은 아니겠지만, 최근에는 소프트웨어의 처리 기반이 되는 범용 CPU의 성능이 향상된 점도 있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의 전환을 노리는 제품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