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는 수신한 패킷을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다.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나누는 장비이기도 하다.
인터넷은 전 세계에 걸친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다. 인터넷에는 LAN(Local Area Network)이라고 볼리는 무수한 로컬 네트워크가 있고, LAN끼리는 라우터라고 불리는 장비를 매개로 연결된다. LAN에서 WAN(Wide Area Network)으로 날라가는 메시지가 발생하면 라우터를 통해서 다른 LAN의 라우터로 메시지를 전달(라우팅이라고 부른다)함으로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라우터가 패킷을 받으면 라우터는 패킷에 있는 목적지인 IP 주소를 보고 패킷을 적절한 라우터로 전송(라우팅)한다. 라우터가 전송할 곳을 결정할 때는 라우터에 미리 설정된 라우팅 테이블(목적지 정보)을 참조한다. 목적지 IP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와 IP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있을 때는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서 패킷을 전송한다. 하지만,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라우터가 없을 때는 모두 기본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스태틱 라우팅’과 ‘다이내믹 라우팅’이 있다. 스태틱 라우팅이란 라우터에 경로 정보를 수동으로 등록해가는 방법이다. 기업에서는 대부분 외부 라우터와의 접속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나 데이터 센터 내부의 라우터뿐일 것이다. 이처럼 통신 경로가 제한된 때는 스태틱 라우팅이 최적이다.
반면 다이내믹 라우팅이란 이웃한 라우터와 통신해서 라우터끼리 경로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방법이다. 다이내믹 라우팅에는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BGP(Border Gateway Protocol) 등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 ISP처럼 외부 라우터와의 접속이 자주 변화할 때는 다이내믹 라우팅이 최적이다.
L2 스위치란 이른바 업무용 스위칭 허브를 말한다. L2 스위치에 프레임(L2 스위치에서는 패킷이 아니라 프레임이라고 부른다)이 들어오면, L2 스위치는 목적지가 MAC 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스위칭)한다. L2 스위치 내에 기술된 MAC 주소 테이블(목적지 정보)에 해당 MAC 주소가 없을 때는 LAN 내 전체에 브로드캐스트해서 응답이 있는 포트로 전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