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의 형태에는 ‘랙 마운트형 서버’와 ‘타워형 서버’가 있다. 랙 마운트형 서버는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 반면 타워형 서버는 사내 서버 룸에 설치되거나 사무실 또는 점포 등에도 설치된다.
랙 마운트형 서버는 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을 전재로 한다. 19인치 랙에 탑재하는 기기는 1U, 2U처럼 유닛 단위로 사이즈가 정해져 있다. 1U는 높이가 1.75인치(44.45mm)다. 엔트리 서버는 1U 사이즈가 많지만 미들레인지 서버 이상은 탑재할 수 있는 부품이 늘어나므로 2U 사이즈 이상인 서버가 많다.
서버는 냉방과 소음을 고려해서 설치 장소를 골라야 한다.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처럼 냉방 장치가 설치된 밀폐된 전용 공간에 서버를 설치한다면 특별한 문제는 없다. 하지만, 사무실이나 점포 등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 타워형 서버를 설치할 때는 일반 서버 대신 사무실 설치용으로 개발된 저소음 서버를 준비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수 킬로그램(kg)에서 수십 킬로그램(kg)까지 무게가 나가므로 사내에 랙을 설치하여 고밀도로 서버를 설치할 경우, 바닥의 하중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서버는 용도에 따라 ‘엔트리, 미들레인지, 하이엔드’ 서버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단, 이런 구분에 엄밀한 정의는 없으므로 일반적인 구분을 소개한다.
엔트리 서버
수십만 엔에 이르며, 주로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용된다. 보통 소켓 단위로 1~2개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킨다.
미들레인지 서버
수백만 엔에 이르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에서 이용된다. 대체로 소켓 단위로 4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으며, 하이엔드 서버에 속하지 않는 서버를 가리킨다. 여기서 기간계 시스템(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백본 시스템 등)이란 기간 업무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며, 기업 경영을 지속하는 데 핵심이 되는 재무관리, 업무관리, 생산관리 등을 담당하는 시스템이다.
하이엔드 서버
수천만 엔에서 수억 엔에 이르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에서 이용된다. 대체로 소켓 단위로 수십 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킨다.